전체기사보기
-
-
삼성전자, 뉴스위크 선정 ‘2025년 영국서 가장 신뢰받는 브랜드’ 냉장고 부문 1위
-
-
[이코노미서울=전영구기자] 삼성전자가 글로벌 시사 주간지인 ‘뉴스위크(Newsweek)’가 최근 발표한 ‘2025년 영국서 가장 신뢰받는 브랜드’에서 냉장고 부문 1위로 선정됐다.
뉴스위크는 시장 조사기관 ‘브랜드스파크(BrandSpark)’와 함께 1만7000여 명의 영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심층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유아동용품, 식품·음료, 건강, 미용·개인 관리, 가전용품 등 주요 소매 부문별 신뢰받는 브랜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뉴스위크는 해당 순위가 100% 실제 구매자의 투표를 통해 선정됐다며, 브랜드 신뢰도는 품질은 물론 기업의 윤리적 가치와 합리적인 가격 및 뛰어난 고객서비스를 아우른다고 설명했다.
또 삼성전자의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는 영국 가전 전문 매체인 ‘굿하우스키핑(GoodHousekeeping)’이 최근 발표한 ‘최고의 냉장고(The best fridge freezers, tried and tested)’ 순위에서 최고점을 획득하며 최고의 냉장고로 인정받았다.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는 와이드 스크린을 통한 스마트홈 기능과 넉넉한 수납공간, 베버리지 센터(Beverage Center) 등을 갖춰 100점 만점에 90점을 획득했다.
※ 베버리지 센터: 상단 냉장실 문에 위치한 정수 시스템으로 물이 나오는 디스펜서와 물통에 마신 물의 양만큼 자동으로 채워놓는 ‘오토필(Auto-fill)’의 두 가지 정수 방식으로 구성됨
굿하우스키핑은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에 대해 이보다 더 발전된 냉장고는 없다(Fridge freezers don't come much more advanced than this one)고 극찬했다.
이 냉장고는 스크린을 통해 달력, 쇼핑 리스트, 식단, 레시피 등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TV 스트리밍 기능 등 다양한 스마트홈 경험을 제공하고 음성 제어가 가능하다.
굿하우스키핑은 ‘AI 비전 인사이드(AI Vision Inside)’ 기능은 내부 카메라로 입출고되는 식재료를 자동으로 기록해 주고, ‘스마트싱스(SmartThings)’ 앱을 통해 집 밖에서도 냉장고 내부 식재료를 확인할 수 있어 장을 볼 때도 편리하다고 호평했다. 또 넉넉한 수납공간은 물론, 접이식 선반으로 키가 큰 식재료를 보관하거나 하단 냉동실 공간을 냉장실로 변경할 수 있는 ‘맞춤 보관실(CoolSelect+)’ 기능을 갖춰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냉장고는 영국 소비자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은 물론, 지난 12월 영국 왕실로부터 ‘로열 워런트(Royal Warrant)’ 인증을 받으며 그 품질과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로열 워런트는 최소 5년 이상 왕실에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한 업체를 평가해 부여되는 영국 왕실의 공식 인증이다.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영국 왕실의 냉장고 공급업체로 선정됐으며 이후 세탁기, 식기세척기, 에어드레서 등 다양한 생활 가전제품을 영국 왕실에 공급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 등 AI 기능을 탑재한 냉장고 라인업을 통해 제품 신뢰도를 지속 높여나갈 예정이다.
한편, 삼성전자 TV와 TV 사운드바 역시 뉴스위크가 발표한 ‘2025년 영국서 가장 신뢰받는 브랜드’ 각각의 부문에서 1위에 올랐다.
-
2025-02-11
-
-
권성동 "헌정 파괴자는 이재명 세력... 분권형 개헌 추진해야"[교섭단체대표연설]
-
-
[이코노미서울=정치팀]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국정 혼란의 주범, 국가 위기의 유발자, 헌정질서 파괴자는 바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세력”이라며 “국정 혼란의 목적은 오직 하나, 민주당의 아버지 이재명 대표의 방탄”이라고 했다.
권 원내대표는 11일 오전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민주당은 의회주의도, 삼권분립도, 법치주의도 모두 무너뜨렸다. 국정은 작동 불능, 심정지 상태에 빠졌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국정 혼란의 목적은 오직 하나, ‘민주당의 아버지’ 이재명 대표의 방탄”이라며 “8개 사건, 12개 혐의, 5개 재판을 받고 있는 이 대표의 형이 확정되기 이전에 국정을 파국으로 몰아 조기 대선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대통령직을 차지하려는 정치적 모반”이라고 했다.
이날 권 원내대표는 “대한민국이 힘든 시기를 지나고 있지만, 분명한 성과도 있었다”면서 윤석열 정부의 지난 3년간 성과를 재조명하는 것으로 연설을 시작했다. 권 원내대표는 “수출이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지난해 2%의 경제성장률을 지켜냈다”며 “1인당 GDP는 3만6000 달러에 진입해 일본과 대만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물가 상승률이 6%에서 2%대로 안정됐으며, 문재인 정부 시절 급증했던 국가부채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민생을 지원하며 건전 재정을 추진해 대외신인도를 지켜냈다”고 평했다. 외교 안보 분야에서도 “한미동맹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복원됐으며, 한일 관계도 정상화됐다”면서 “한미일 3각 협력을 강화하고, 굴종적 대북정책에서 벗어나 강력한 힘에 의한 평화를 지켜나가고 있다”고 했다.
그럼에도 국정 위기가 벌어진 것은 민주당의 잘못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권 원내대표는 “지난해 12·3 비상계엄 선포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등 작금의 국정 혼란을 만든 주범은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라고 목소리를 높이며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민주당이 29건의 탄핵소추안을 발의했으며, 이는 헌정사에도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문재인 정부까지 74년 동안 발의된 탄핵소추안은 총 21건인데,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에만 야당이 무려 29건의 탄핵소추안을 발의한 행태는 세계 어느 국가에도 전례를 찾아볼 수 없다는 지적이다.
권 원내대표는 “탄핵소추의 이유는 더욱 기가 막히다”고 했다. 대북 송금 사건, 대장동·백현동 비리 사건의 주범이자 피의자인 이재명 대표를 지키기 위해 수사 검사들을 무더기 탄핵하고, 이 대표 수사팀에 족쇄를 채워 재판을 지연시키려는 목적으로 이 대표 재판을 공소유지하는 서울중앙지검장 등을 탄핵하여 직무를 정지시켰다는 것이다. 권 원내대표는 “법무부장관 탄핵소추안에는 이 대표를 노려봤다는 황당무계한 사유도 있다”며 “탈원전, 서해 공무원 피살, 집값 통계 조작, 태양광사업 비리와 같은 문재인 정권의 부정부패 범죄를 감사하였다는 이유로 난데없이 감사원장까지 탄핵하고, 헌법재판관 여야 합의를 요청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탄핵하는 횡포가 세상 어디에 또 있느냐”고 했다.
권 원내대표는 “거대 야당은 현 정부 출범 이후 무려 23번의 특검법을 발의했는데, 위헌 위법적 독소조항이 가득한데도 여야 합의없이 강행처리했다”며 “지역상품권 1조원 증액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금년도 예산안을 대폭 삭감하는 보복을 자행하고, 국회 청문회에선 온갖 기형적인 막말과 갑질로 인신공격 경연을 보여줬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29번의 연쇄 탄핵, 23번의 특검법 발의, 38번의 재의요구권 유도, 셀 수도 없는 갑질 청문회 강행, 삭감 예산안 단독 통과. 이 모두가 대한민국 건국 이후 단 한번도 본적이 없는 처음 있는 일로 입법 권력을 휘두르는 개인 숭배 세력이자 탄핵·특검 말고는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불안 조장 세력, 정치를 끝없는 갈등과 대립으로 몰아가는 국민 분열 세력이 이재명 민주당의 본 모습”이라고 했다.
권 원내대표는 최근 민주당은 인터넷 커뮤니티, 카카오톡을 통해 소위 가짜뉴스를 유포하면, 일반인도 고발하겠다고 선언하며 ‘민주파출소’와 같은 홈페이지를 만들어 신고도 받는 것에 대해 “당 대표가 검사를 사칭하더니, 당은 경찰을 사칭하고 있다”며 “민주당의 검열과 통제 본능은 여론조사업체 관리 법안, 언론재갈법, 언론사에 대한 광고 압박에서도 볼 수 있다. 이처럼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는 의회 권력만으로도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고, 국민의 일상까지 감시하는데 민주당의 권력이 더 커지면, 무슨 일이 벌어지겠느냐”고 했다.
또한 권 원내대표는 “한미동맹은 대한민국의 안보와 번영의 핵심”이라며 “민주당과 일부 세력이 반미 정서를 조장하지만, 실용적인 동맹 강화를 위해 원자력, 반도체, 조선업 등 전략산업에서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이 추진하는 ‘노란봉투법’은 불법파업을 조장하고, ‘국회증언감정법’은 기업의 경영기밀을 침해하는 법안이라고 설명하며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여야가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헌의 필요성도 역설했다. 권 원내대표는 “우리가 겪고 있는 정치 위기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개헌이라고 확신한다”며 ‘87년 체제’ 등장 이후 5년 단임제 대통령 8명이 있었는데 그 중 3명이 탄핵소추를 당했고, 4명이 구속된 것은 개인의 문제를 뛰어넘은 제도 자체의 치명적인 결함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권 원내대표는 “제왕적 대통령제를 개혁해야 한다”며 “현재의 5년 단임제는 극단적인 정쟁을 초래하고, 대통령의 성공적인 국정운영을 어렵게 만든다”고 지적하면서 권력구조 개편과 선거제도 개혁을 포함한 개헌 논의를 적극 추진하자고 제안했다. 국회의원 선거법 개정도 전향적으로 검토해 민심을 왜곡하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폐기하고, 승자 독식과 지역 편중의 선거구제도 바꿔서 협치와 공존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연금개혁과 의료개혁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정부는 의료계와 대화를 지속해 필수 의료 정상화와 지역 의료 살리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국무위원들이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듣고 있다./뉴시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국무위원들이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듣고 있다./뉴시스
권 원내대표는 추가경정예산(추경)에 대해선 “지역화폐와 같은 정쟁의 소지가 있는 것은 배제하고 내수 회복, 취약계층 지원, AI(인공지능)를 비롯한 산업·통상경쟁력 강화를 위한 추경으로 편성해야 한다”며 민생추경을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그동안 1분기 본예산 조기집행 후 추경 필요성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반도체특별법도 이달 국회에서 반드시 처리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주 52시간제 적용 제외’ 필요성을 강조했다. 권 원내대표는 “세계 각국은 국가적 정책 지원과 근로시간 유연화를 통해 초경쟁체제에 돌입했다”며 “연구개발과 생산이 24시간, 365일 지속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는 산업이기 때문”이라고했다. 이어 “전 세계에서 반도체 연구인력이 주52시간 근무에 발목잡힌 나라는 어디에도 없다. 주 52시간 규제에 집착하는 민주당은 글로벌 스탠다드에서 뒤떨어진 정치세력”이라며 “변화무쌍한 시대에, 실용의 가치를 배신하는 21세기 쇄국”이라고 했다.
권 원내대표는 반도체, AI 등 첨단산업에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국토 종합 인프라 개발 로드맵’을 구축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그는 “첨단산업은 충분한 에너지의 뒷받침이 필수적”이라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약 480조원을 투자할 용인반도체클러스터를 예시로 들었다. 권 원내대표는 “현장에 에너지 확보 비상이 걸렸다”며 “동해안이나 남해안에서 생산된 전력을 끌어오려고 하지만 넘어야 할 난관이 너무 많다”며 막대한 전력이 소요되는 첨단산업을 에너지원과 송배전 기반 시설을 갖춘 지방으로 이전하도록 유도하고 그에 따른 세제, 보조금, 교육·의료·문화인프라와 같은 다양한 인센티브를 파격적으로 제공하겠다고 했다.
-
2025-02-11
-
-
IBK기업은행, 2024년 경영실적 발표
-
-
금융권 최초 중소기업대출 잔액 240조원 돌파, 역대 최대 시장점유율 달성
연결 2조6738억원, 별도 2조4463억원의 안정적 당기순이익 기록
[이코노미서울=심진섭기자]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에 따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적극 지원한 결과, 2024년말 중소기업대출 잔액이 전년 대비 13.4조원(5.7%) 증가한 247.2조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 중기대출 시장 점유율(23.65%)을 달성했다고 10일 밝혔다.
기업은행의 2024년 별도기준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2조4463억원을,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인 2조6738억원을 기록하며 최근의 양호한 성과를 이어갔다.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전년 말 대비 0.27%p 상승한 1.32%를 기록했으나, 체계적인 건전성 관리와 위기상황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적립해 둔 추가충당금에 힘입어 대손비용률은 전년 대비 0.21%p 감소한 0.47%를 기록했다.
-
2025-02-11
-
-
카자흐스탄, 숙련된 전문가 및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새로운 비자 옵션 도입
-
-
카자흐스탄, 숙련된 전문가 및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새로운 비자 옵션 도입
[이코노미서울=전광훈기자] 카자흐스탄은 숙련된 전문가, 기업가 및 원격 근무자를 유치하기 위해 세 가지 새로운 비자 카테고리를 도입하여 글로벌 인재와 혁신 허브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Neo Nomad 비자 (B12-1), Digital Nomad 비자 (B9-1), 영주권 비자 (B9)는 카자흐스탄에서 장기적인 기회를 모색하는 이들에게 유연한 경로를 제공한다. 이는 경력 성장, 비즈니스 확장 또는 원격 근무를 원하는 이들에게 적합한 옵션이다.
Neo Nomad 비자(B12-1): 원격 근무자를 위한 특별한 기회
Neo Nomad 비자 (B12-1)는 카자흐스탄에서 거주하면서 해외 소득을 유지하며 원격으로 일하고자 하는 전문가 및 디지털 기업가를 위해 설계되었다.
Neo Nomad 비자는 최대 1년간 유효한 복수입국 비자이다.
비자 소지자는 카자흐스탄 내에서 최대 1년 추가 연장이 가능하다.
가족 구성원 및 부양가족도 동일한 기간 동안 비자를 받을 수 있지만, 취업 및 종교 활동은 카자흐스탄 법에 따라 제한된다.
카자흐스탄은 현대적인 인프라, 저렴한 생활비, 그리고 국제적인 비즈니스 환경이 조성되어 있어, 중앙아시아에서 역동적이고 연결성이 뛰어난 기반을 찾는 원격 근무자들에게 최적의 선택이 될 것이다.
Digital Nomad 비자 (B9-1): 영주권으로 가는 길
Digital Nomad 비자 (B9-1)는 IT 산업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하며, 카자흐스탄으로 이주하여 영주권을 취득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적합한 비자이다. 이 비자는 카자흐스탄의 노동시장에 통합되고 경제 발전에 기여할 기회를 제공한다.
비자 및 이민 포털을 통해 최대 1년간 유효한 단수입국 전자 비자를 받을 수 있다.
단수입국 전자 비자(B9-1)를 받은 후, 카자흐스탄 내무부를 통해 최대 1년간 유효한 복수입국 종이 비자를 신청할 수 있다.
카자흐스탄은 기술, 금융 및 기타 고부가가치 산업에서 성장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안정적이고 비즈니스 친화적인 환경을 갖추고 있다. Digital Nomad비자 소지자는 영주권 신청 절차를 진행하면서 카자흐스탄에서 정착할 수 있다. 이 비자를 받기 위해서는 아스타나 허브 (Astana Hub)또는 카자흐스탄 IT 부문에서 지정된 기관의 청원서가 필요하다.
영주권 비자 (B9): 숙련된 전문가를 위한 장기적 기회
B9 비자는 의학, 과학, 혁신, 교육 및 창의 산업과 같은 분야에서 필요한 기술을 보유한 외국인 전문가들이 카자흐스탄에 장기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비자이다.
카자흐스탄 외교 공관을 통해 발급 가능:
단수입국 비자: 최대 90일 유효
복수입국 비자: 최대 90일 유효(연 1회 발급 가능)
카자흐스탄에 도착한 후, 전문가들은 영주권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생활과 현지 노동시장에 통합될 수 있다. 카자흐스탄은 전략적 위치, 빠른 경제 성장, 비즈니스 친화적인 정책을 갖추고 있어, 경력 발전과 높은 삶의 질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매력적인 목적지가 될 것이다.
왜 카자흐스탄인가?
카자흐스탄은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 중 하나로, 높은 생활 수준, 강력한 디지털 인프라, 그리고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직업 기회를 제공한다. 현대적인 도시 환경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이 공존하는 카자흐스탄은 전문적인 성장과 다채로운 생활을 동시에 추구하는 이들에게 이상적인 목적지이다.
숙련된 전문가로서 장기적인 기회를 찾고 있거나, 새로운 영감을 주는 장소에서 디지털 노마드 생활을 하고자 한다면, 카자흐스탄의 새로운 비자 옵션은 글로벌 환경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유연성과 지원을 제공힌다.
비자 신청 및 요구 사항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카자흐스탄 대사관 또는 영사관을 통해 받을 수 있다.
Kazakhstan Introduces New Visa Options for Skilled Professionals and Digital Nomads
Kazakhstan has launched three new visa categories designed to attract skilled professionals, entrepreneurs, and remote workers, reinforcing the country’s position as a hub for global talent and innovation. Neo Nomad Visa (B12-1), the Digital Nomad Visa (B9-1), Visa for Permanent Residence (B9) offer flexible pathways for those seeking long-term opportunities in Kazakhstan, whether for career growth, business expansion, or remote work.
Neo Nomad Visa (B12-1): A Unique Offer for Remote Workers
The Neo Nomad Visa (B12-1) is specifically designed for professionals and digital entrepreneurs who want to live in Kazakhstan and work remotely while maintaining their foreign income.
The Neo Nomad Visa is a multiple-entry visavalid for up to one year.
Visa holders can extend their stay for up to an additional year within Kazakhstan.
Family members and dependents can obtain a visa for the same duration, though work and religious activities are restricted under Kazakh law.
With its modern infrastructure, affordable cost of living, and growing international business environment, Kazakhstan presents an excellent opportunity for remote workers looking for a dynamic and well-connected base in Central Asia.
Digital Nomad Visa (B9-1): A Path to Permanent Residence
The Digital Nomad Visa (B9-1) is intended for highly sought-after professionals in the IT industrywho are relocating to Kazakhstan to obtain permanent residence.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tegrate into Kazakhstan’s workforce and contribute to its economic development.
A single-entry electronic visais available via the Visa and Migration Portal, valid for up to one year.
A multiple-entry paper visa, also valid for up to one year, can be obtained through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on a basis of single entry electronic B9-1 visa.
Kazakhstan offers a stable, business-friendly environment with growing opportunities in technology, finance, and other high-demand industries. The Digital Nomad Visa allows professionals to settle in Kazakhstan while completing the permanent residence application process. A petition from Astana Hub or an authorised body in Kazakhstan’s IT sector is required to obtain the Digital Nomad Visa.
Visa for Permanent Residence (B9): A Long-Term Opportunity for Skilled Professionals
The B9 visa provides a structured pathway for foreign professionals with in-demand skills in fields such as medicine, science, innovation, education, and the creative industries, enabling them to establish a long-term presence in Kazakhstan.
Kazakh diplomatic issue:
Single-entry visasvalid for up to 90 days.
Multiple-entry visas up to 90 days, issued once per year.
Once in Kazakhstan, professionals can transition to permanent residency, offering stability and the ability to integrate into the local job market. Kazakhstan’s strategic location, strong economic growth, and business-friendly policies make it an attractive destination for those seeking career advancement and a high quality of life.
Why Kazakhstan?
Kazakhstan is one of the fastest-growing economies in the region, offering a high standard of living, strong digital infrastructure, and expanding professional opportunities. The country provides a unique blend of modern urban centres and stunning natural landscapes, making it an ideal destination for professionals seeking both career growth and an adventurous lifestyle.
Whether you are a skilled professional looking for long-term opportunities or a digital nomad seeking a fresh, inspiring location, Kazakhstan’s new visa options provide the flexibility and support needed to thrive in an emerging global hub.
For more details on visa applications and requirements, please contact a Kazakh embassy or consulate.
-
2025-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