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보기
-
-
KG 모빌리티, 첫 번째 HEV 모델 ‘토레스 하이브리드’ 기대감 고조
-
-
[이코노미서울=서규웅기자] KG 모빌리티(이하 KGM)가 ‘토레스 하이브리드’ 출시에 앞서 환경부 인증을 완료하고 새롭게 개발한 하이브리드 기술 등 일부 사양을 공개하며 기대감을 한층 높였다.
KGM이 밝힌 토레스의 하이브리드(HEV) 기술은 ‘듀얼 테크 하이브리드 시스템(Dual Tech Hybrid System)’으로 직병렬 듀얼 모터가 장착된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다.
‘듀얼 테크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KGM이 글로벌 친환경차 선도기업인 BYD와 협력해 개발한 풀 하이브리드로 전기차의 특성과 내연기관의 효율성 및 강점을 극대화해 실주행 연비를 대폭 개선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또한, ‘토레스 하이브리드’에 적용한 e-DHT(efficiency-Dual motor Hybrid Transmission)는 KGM이 P1형, P3형 구동 시스템을 적용해 개발한 하이브리드 전용 듀얼 모터 변속기로 △EV 모드 △HEV 모드(직병렬) △엔진 구동 모드 등 다양한 운전 모드 구현이 가능하다.
더불어 e-DHT는 구성 부품 수 최소화 및 모터, 제어기, 변속기 등을 통합해 중량 저감은 물론 효율을 극대화했으며, 운전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연비와 출력을 최적화하도록 제어해 다양한 주행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도심 주행 시 EV 모드로 94%까지 주행이 가능해 전기차와 유사한 정숙성과 주행 환경을 구현하고 있으며, 고속주행 시에는 고출력의 구동 모터뿐만 아니라 엔진의 구동력 보조를 통해 더욱 강력한 주행 성능을 발휘한다.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판매 가격 및 정확한 세부 사양은 오는 3월 중 출시 시점에 공개 예정이나, 경쟁이 심화된 시장 상황을 고려해 준중형과 중형급 SUV 중 가장 경제적이면서도 가성비 있는 3000만원 초반대의 가격으로 책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KGM은 토레스의 가솔린 모델 및 바이퓨얼, 전기차에 이어 하이브리드 모델까지 더해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등 니즈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파워트레인별 풀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KGM는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경제적 연비와 SUV 실용성 등 고객 니즈를 적극 반영한 모델로 다양한 옵션 상품을 통해 고객 선택의 폭 또한 넓혀 소비자들에게 합리적인 선택이 될 것이라며, 토레스 하이브리드 출시를 시작으로 전기차 출시 확대 등 회사의 제품 라인업을 친환경차 중심으로 재편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모터의 위치에 따라 FMED(Flywheel Mounted Electric Device)와 TMED(Transmission Mounted Electric Device)로 분류한다.
- FMED: 엔진과 상시 맞물려 있기에 모터만으로 주행할 수 없는 소프트형 하이브리드
- TMED: 엔진과 분리돼 모터만으로 EV 모드로 주행 가능한 하드형 하이브리드
- 모터의 위치에 따라 P0~P4까지 세분돼 있다.
* FMED - P0: 엔진의 액세서리 벨트 / P1: 엔진의 크랭크샤프트
* TMED - P2: 변속기의 입력축 / P3: 변속기의 출력축
* 기타 - P4: 후륜 차동기어
-
2025-02-21
-
-
현대차 호세 무뇨스 사장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도 최고의 품질과 고객 지향적 가치를 최우선”
-
-
20일 취임 후 첫 타운홀 미팅 통해 임직원들과 적극적으로 의사소통 나서
[이코노미서울=서규웅기자] “우리의 최우선 목표는 고객이 원하는 기술과 기능을 갖춘 차량을 최고 수준의 품질과 훌륭한 디자인을 통해 선보이는 것입니다.”
현대자동차 설립 이후 첫 외국인 최고경영자(CEO)인 호세 무뇨스(José Muñoz) 사장이 취임 후 처음으로 타운홀 미팅 자리를 갖고 임직원과 적극적인 대면 소통에 나섰다.
호세 무뇨스 사장은 이날 신임 CEO로서 취임 후 약 두 달 간의 소회를 밝히고 향후 현대차의 경영전략과 미래 비전 및 방향성 등을 공유했다.
타운홀 미팅은 20일(목) 오후 2시 현대차 연구개발의 산실인 남양연구소 대강당에서 R&D본부장 양희원 사장, HR본부 김혜인 부사장 등을 비롯해 임직원 8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영 동시통역으로 진행됐다.
현장에는 남양연구소뿐만 아니라 양재와 판교, 의왕 등에서 근무 중인 현대차 임직원도 참석했으며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 해외 거점에서 1만5000명 이상의 현대차 글로벌 임직원이 이날 타운홀 미팅에 자리했다.
호세 무뇨스 사장은 임직원과 편안하게 질의응답을 주고받으며 격의 없이 소통했고, 타운홀 미팅은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 약 1시간 정도 이어졌다.
호세 무뇨스 사장은 “전 세계로 뻗어 나가는 현대차의 저력과 가능성에 큰 자부심을 느낀다”며 “대표이사로서 고객, 임직원, 협력사 등과 함께 현대차의 성장 여정을 함께할 수 있어 영광스럽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항상 새로운 기회에 도전하고 서로 협업해 고객 감동을 이뤄낼 수 있는 성과를 만들어 나가자”고 임직원을 독려했다.
현대차가 달성해야 할 핵심 목표로는 △최고 수준의 기술과 품질 및 디자인 △각 시장별 니즈에 맞춘 차별화된 전략 △고객 지향적 서비스 제공 등을 꼽았다.
호세 무뇨스 사장은 “고객이 원하는 기술을 담은 아름다운 디자인의 고품질 차량을 지속적으로 선보여야 한다”며 “완벽하지 않은 제품은 시장에 출시하지 않아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호세 무뇨스 사장은 “품질과 안전은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그리고 미래에도 양보와 타협이 없는 현대차의 최우선 가치라고 생각한다”며 “최고의 품질을 바탕으로 고객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기차 수요에 대한 시장 변화와 현대차의 전략에 대해서는 “자동차 산업은 소비자의 수요를 기반에 두고 있는 만큼 고객들의 니즈에 맞춰 탄력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EV를 비롯해 HEV, PHEV, FCEV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계획이고 남들보다 두 배를 넘어 세 배 더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자율주행 기술 개발의 성과와 경쟁력에 대해 “자율주행은 더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엄청난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안전하고 뛰어난 자율주행 기술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자율주행 데이터를 수집하며 기술을 고도화하고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호세 무뇨스 사장은 지난 2019년 현대차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GCOO) 및 미주권역담당으로 합류해 딜러 경쟁력 강화와 수익성 중심 경영 활동을 통해 북미 지역 최대 실적을 잇달아 경신했다.
이 같은 성과를 인정받아 2022년에는 미주 권역을 비롯한 유럽, 인도, 아중동 등 해외 권역의 글로벌 사업을 총괄하는 최고운영책임자(COO) 보임과 더불어 현대차 사내이사로 역할이 확장됐고 현대차의 사상 최대 실적 달성에 공헌하며 글로벌 자동차 업계 내에서 검증된 경영자로서 입지를 다진 바 있다.
타운홀 미팅을 마무리하며 호세 무뇨스 사장은 “항상 겸손하고, 무언가를 갈망하며, 열심히 일하자(Stay Humble, Stay Hungry, Work Hard)는 3H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저는 임직원을 섬기기 위해 이 자리에 있고 함께 힘을 합쳐 고객에게 봉사하자”고 임직원을 격려했다.
한편 타운홀 미팅이 열린 남양연구소는 347만㎡ 규모의 부지에 기술개발은 물론 디자인과 설계, 시험, 평가 등 기반 연구 시설을 모두 갖춘 종합기술연구소로 미국, 유럽, 인도, 중국 등 세계 각지의 기술연구소와 함께 현대차의 신차 및 신기술 연구와 기술력 향상을 이끌고 있으며 특히 올해는 지난 1996년 설립 이후 30주년을 맞았다.
-
2025-02-21
-
-
삼성전자, AI 맞춤 세척+로 업그레이드된 ‘비스포크 AI 식기세척기’ 신제품 출시
-
-
[이코노미성=전영구기자] 삼성전자가 더 똑똑해진 AI 기능과 주방 공간에 일체감 있게 녹아드는 미니멀한 디자인을 갖춘 2025년형 ‘비스포크 AI 식기세척기’ 신제품을 21일 출시한다.
식기세척기 신제품은 프리미엄 라인인 ‘인피니트 라인(Infinite Line)’ 2개 모델과 다양한 옵션을 고를 수 있는 ‘비스포크(BESPOKE) ’라인업 11개 모델로 구성됐다.
2025년형 ‘비스포크 AI 식기세척기’ 전 모델은 한층 더 고도화된 ‘AI 맞춤 세척+’ 기능을 탑재해 최적화된 식기 세척 경험을 제공한다.
‘AI 맞춤 세척+’ 기능은 세척부터 헹굼 단계까지 전 과정에서 고감도 센서가 수시로 식기 오염도를 센싱하고, AI 알고리즘을 통해 오염도를 분석해 헹굼 횟수와 세척 온도를 자동 조절한다.
이를 통해 식기의 오염도가 적은 경우에는 불필요한 물 사용량과 에너지를 줄일 수 있고, 식기에 음식물이 많이 묻어 있거나 기름기가 많은 경우에는 더욱 강력하게 세척한다.
14인용 식기세척기를 ‘AI 맞춤 세척+’ 기능으로 동작시킬 경우 동작 시간은 최대 34분, 에너지 소비량은 최대 24%, 물 사용량은 최대 절반가량 절약할 수 있다.
※ 오염도 감지에 따라 물·에너지 절약량은 다름
※ DW99F79E1UAP 모델 기준 매우 낮은 오염과 규격 오염 기준 비교치이며, 자사 실험 결과로 실사용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삼성전자 ‘비스포크 AI 식기세척기’ 신제품은 손잡이가 없는 깔끔한 디자인을 적용해 주방 공간과 가구에 일체감 있게 어우러진다. 도어에는 가볍게 눌러 쉽게 문을 열 수 있는 ‘오토 오픈 도어(Auto Open Door)’ 기능이 적용됐다.
또 AI 음성비서 ‘빅스비(Bixby)’를 통해 손대지 않고 편리하게 도어를 열 수 있다. 제품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휴대폰 없이도 빅스비를 호출하고 △전원 제어 △문 열기 △잔여 시간 확인 △세척 시작과 취소 등을 명령할 수 있다.
또 제품 미관을 해치지 않는 세련된 디자인의 ‘인포 디스플레이’를 도어에 적용해 기기 동작 상태와 에러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인피니트 라인인 ‘빌트인’과 ‘트루 빌트인’ 2개 모델에는 바닥에 빛을 쏘아 정보를 표시하는 ‘플로어 디스플레이(Floor Display)’도 적용돼 한층 고급스러우면서도 편리한 사용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트루 빌트인’ 모델의 경우, 주방 가구장과 동일한 패널을 식기세척기 도어에 부착할 수 있어 일체감 있게 딱 떨어지는 완성도 높은 주방 인테리어를 구현할 수 있다.
‘비스포크 AI 식기세척기’ 신제품은 내부 구조도 한층 효율적으로 업그레이드됐다.
‘컵 맞춤 세척 구역’이 최상단 선반에 새롭게 적용됐다. 컵 안쪽까지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맞춤 회전 노즐도 탑재됐다. 컵 맞춤 세척 구역이 새롭게 적용된 덕분에 밥과 국그릇, 접시를 적재하는 상단 선반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단 선반에는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여닫을 수 있는 ‘글라이드 레일’이 적용돼 식기가 가득 차도 가볍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단 선반에는 최대 너비 28cm, 깊이 5cm의 프라이팬을 2개까지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프라이팬 홀더’가 새롭게 적용됐다. 프라이팬을 세척하지 않을 때는 ‘프라이팬 홀더’를 접어 둘 수 있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할 수 있다.
2025년형 ‘비스포크 AI 식기세척기’ 전 모델은 에너지 소비효율 1등급을 취득했다. 또한 스마트싱스(SmartThings) 앱의 에너지 서비스에서 ‘AI 절약 모드’를 설정하면 월 30회 동작을 기준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월 최대 20% 줄일 수 있다.
※ AI 절약 모드는 DW99F79E1UAP모델 기준, 자사 실험 결과로 실 사용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출고가는 제품 타입과 색상에 따라 121만원에서 236만원이다.
삼성전자 DA사업부 문종승 부사장은 “2025년형 삼성 비스포크 AI 식기세척기는 더 똑똑해진 AI 기능으로 맞춤 세척을 할 뿐만 아니라 완성도 높은 키친테리어를 원하는 소비자를 위해 일체감 있는 디자인을 적용했다”며 “앞으로도 편의성을 강화하고 소비자 트렌드에 맞는 제품을 지속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
2025-02-21
-
-
임팩트비전-LG헬로비전, 아파트 커뮤니티 특화 스크린골프 렌탈 상품 출시
-
-
월 10만 원대 저렴한 이용료, 48개월 렌탈 후 소유권 이전
AI 스윙분석 시스템과 110개 Full-HD 필드게임 콘텐츠 제공
예약, 회원관리 솔루션과 분기별 무상 정기점검 서비스 제공
[이코노미서울=전영구기자] 다원솔루텍의 임팩트비전과 LG헬로비전 헬로렌탈이 아파트 커뮤니티 센터를 위한 특화된 스크린골프 렌탈 상품을 공동 개발, 출시했다고 20일 발표했다.
이번에 선보인 스크린골프 렌탈 상품은 월 10만 원대의 경제적인 이용료로 제공되며, 48개월의 약정 기간이 종료되면 소유권이 이전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추가 설치 비용 없이 분기별 무상 정기 점검 서비스가 제공되며, 입주민들은 안정적인 환경에서 골프를 연습할 수 있다.
특히 인공지능(AI) 스윙 분석 시스템이 탑재돼 사용자들은 체계적인 골프 연습이 가능하다. 또한 110개의 Full-HD 필드게임 콘텐츠가 제공돼 현실감 높은 골프 경험을 즐길 수 있다. 더불어 예약 및 회원 관리 솔루션이 함께 제공돼 아파트 커뮤니티 내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임팩트비전은 이번 서비스는 골프 산업의 대중화와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의 활용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LG헬로비전은 기존 케이블TV, 인터넷, 모바일 서비스에 이어 렌탈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으며, 이번 스크린골프 렌탈 서비스를 통해 입주민들에게 새로운 스포츠 문화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협업은 임팩트비전의 우수한 스크린골프 기술과 LG헬로비전의 폭넓은 서비스 네트워크가 결합된 것으로,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의 가치를 높이고 입주민들에게 더욱 편리한 골프 연습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원솔루텍 소개
다원솔루텍은 ‘임팩트비전’ 브랜드로 스크린골프 장비 제조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다. 전국 800여 매장에 5000대 이상 설치된 중견회사로, 특히 아파트 커뮤니티 센터 설치 전국 1위를 달성했으며 일본, 베트남 등 해외 21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현실감 넘치는 HD 그래픽의 골프장 110개 코스 이상을 제공하며, 초고속 카메라 센싱에 기반한 AI스윙코칭, 클럽비전 등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
2025-02-21
-
-
한화생명, 2024년 당기순익 7206억원 달성… 전년 대비 17% 증가
-
-
[이코노미서울=심진섭기자] 한화생명이 20일(목) 컨퍼런스 콜(실적발표회)을 통해 2024년 연간 실적을 발표했다.
한화생명의 2024년 별도기준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17% 증가한 7206억원을 기록하며, 신제도 도입 이후 2년 연속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했다.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안정적인 별도 이익과 더불어 한화손보, 한화생명금융서비스, 베트남법인 등 주요 연결 자회사의 호실적으로 8660억원을 달성했다.
한화생명은 지난해 판매채널 경쟁력 강화 및 시장 트렌드를 주도하는 상품 출시 등 본원 경쟁력을 강화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특히 한화생명의 자회사형 GA*소속 FP 수는 전년 대비 3833명 증가한 3만1005명을 기록했다. 3만 명 이상의 FP 조직을 확보해 업계 최고 수준의 채널 경쟁력을 확보했다.
* 한화생명금융서비스, 한화라이프랩, 피플라이프
또한 한화생명은 암보장에서 진단·치료 후 회복까지 준비 가능한 ‘The 시그니처 암보험’, 초경증 유병자와 건강한 보험 소비자를 위한 ‘H10 건강보험’ 등 보험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합하는 보장성 상품을 지속 출시해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신계약 APE는 전년 동기 대비 18.2% 신장한 3조8557억원을 기록했고, 이 중 81%인 3조1232억원을 보장성 APE로 거둬들이며 안정적인 보험 포트폴리오를 견지했다.
고수익성 일반보장 상품 판매를 확대한 결과, 연간 신계약 CSM은 2조1231억원을 기록하며 가이던스로 제시한 2조원을 2년 연속 상회했다. 연말 보유 계약 CSM은 9조1091억원이다.
한화생명은 보험 영업의 근간인 조직 규모 확대와 시장 트렌드를 주도하는 상품 출시로 안정적인 신계약 성장을 이뤘다며, 고객서비스·영업·상품 전 영역에서 AI 기술 등 디지털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2025-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