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7-25(금)
 


현대자동차로고.jpg

 

[이코노미서울=서규웅기자] 현대자동차가 24()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을 실시하고, 20252분기 실적이 IFRS 연결 기준 도매 판매 1065836매출액 482867억원(자동차 37302억원, 금융 및 기타 112564억원) 영업이익 36016억원 경상이익 43853억원 당기순이익 32504억원(비지배지분 포함)이라고 발표했다.

현대차의 20252분기 매출액은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 판매 및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등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인센티브 증가 및 투자 확대 추세 속에도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으로 인해 7.5%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국내와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판매량 증대로 외형적 성장이 가능했지만,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고, 경쟁 심화에 따른 글로벌 인센티브 및 판매 비용 증가 등의 원인으로 손익이 둔화됐다고 밝혔다.

 

2분기 실적(4~6월 기준)

현대차는 20252분기(4~6) 글로벌 시장에서 106583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0.8% 증가한 수치다(도매 판매 기준).

국내 시장에서는 팰리세이드 및 아이오닉 9 신차 효과로 SUV 판매가 성장하며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188540대가 판매됐다. 해외에서는 미국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262305대를 기록했으며, 대외 환경 악화로 신흥 시장 판매가 감소했지만 해외 판매는 전년 동기보다 0.7% 증가한 877296대가 팔렸다.

20252분기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대수(상용 포함)는 유럽 지역 중심 EV 판매 비중 확대,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에 따른 판매 견인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36.4% 증가한 262126대가 판매됐다. 이중 EV78802, 하이브리드는 168703대로 집계됐다.

2025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7.3% 증가한 482867억원을 기록했다. 북미 시장의 판매 호조와 함께 우호적인 환율 등에 힘입어 매출 상승세를 이어 나갔다. 20252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은 전년 동기 대비 2.4% 오른 1404원을 나타냈다.

매출 원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2.7%포인트 상승한 81.1%를 기록했다. 판매 관리비는 마케팅 및 연구비용의 소폭 증가에도 불구하고 판매보증비용의 감소로, 매출액 대비 판매 관리비 비율은 전년 동기 대비 하락한 11.4%를 나타냈다.

이 결과 2025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15.8% 감소한 36016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률은 7.5%를 기록했다. 이러한 이익률 감소는 미국의 관세 영향이 일부 반영된 결과다.

경상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43853억원, 32504억원으로 집계됐다.

 

향후 전망 및 계획

현대차는 관세 등 통상 환경의 변동 방향성에 따른 손익 영향도 등이 경영 활동의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신흥 시장 중심 판매 둔화가 이어지면서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 환경이 하반기에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 속에서 현대차는 연초에 발표한 2025년 가이던스를 잠정 유지하고, 81일에 발표될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방향성을 기반으로 전략 고도화를 통해 체계적으로 대응책을 적극 실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현대차는 최근 복합적인 대내외 경영 리스크에 대한 정교한 분석과 근본적인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과감한 혁신으로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현대차는 지난해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의거해 20252분기 주당 배당금을 전년 동기(2000)보다 25% 오른 2500원으로 발표했다. 현대차는 거시적인 경영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주주 가치 극대화를 위해 기존에 약속한 주주 환원 정책의 충실한 이행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태그

전체댓글 0

  • 5373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현대차, 2025년 2분기 경영실적 발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