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뉴스 검색결과
-
-
바디프랜드 ‘퀀텀 AI뷰티캡슐’ IFA2025 혁신상 수상… AI 마사지맵핑 기술 첫선
- 사용자와의 음성 대화로 개인화된 헬스케어 제공하는 ‘퀀텀 AI 뷰티캡슐’ 수상 [이코노미서울=전광훈기자] 헬스케어로봇 기업 바디프랜드(대표이사 곽도연·김철환)가 5일(현지 시각), 독일 베를린에서 진행된 국제 가전 전시회 IFA 2025에서 혁신상을 받았다. 바디프랜드는 자사 최초로 사용자와의 음성 대화가 가능한 헬스케어로봇 제품 ‘퀀텀 AI뷰티캡슐’로 IFA 혁신상 수상의 쾌거를 이뤘다. ‘IFA 이노베이션 어워드(Innovation Awards)’는 IFA가 올해 신설한 글로벌 시상 프로그램으로서 1800개 이상의 참가 기업 중 최고의 제품을 선정하는 자리다. 16개 부문 중 AI, 양자 컴퓨팅, AR/VR 분야의 기술 혁신성을 가리는 ‘이머징 테크(Emerging Tech)’ 부문에서 바디프랜드 헬스케어로봇 제품이 위너로 선정됐다. ‘퀀텀 AI뷰티캡슐’은 메디컬·뷰티케어 기능이 모두 결합된 차세대 헬스케어로봇이라는 점에서 높은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AI 마사지맵 생성 시스템 △LED 광선 케어 시스템 △고도화된 로보틱스 기술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특히 ‘AI 마사지맵 생성 시스템’은 마치 전담 테라피스트처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화된 헬스케어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헬스케어로봇이 사용자와의 음성 대화를 나누면서 피로 부위, 수면 상태, 통증 부위 등 신체 상태를 파악하고, 선호하는 마사지 스타일을 학습해 마사지 맵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방식이다. 또한 별도의 뷰티 디바이스 연결 없이, 특수 설계된 아치형 슬라이딩 모듈에서 LED 광선이 조사돼 얼굴 피부와 두피 케어가 가능한 점도 특기할 만하다. 실제 국내 한국피부과학연구원에서 실시한 인체적용시험(2024.06.24~2024.09.13) 결과에 따르면, 성인 남녀 33명이 주 3회씩 8주 간 사용한 결과, 모발 끊어짐 56.65% 감소, 피부 수분량 35.15% 증가 등 다양한 효능이 입증됐다. 아울러 인체의 보행 구조를 자극하는 ‘로보틱스 테크놀로지’가 탑재돼 역동적인 신체 움직임을 유도한 점도 기존 마사지체어의 문법을 깬 새로운 시도라고 평가받았다. 바디프랜드는 9회에 이르는 CES 혁신상 수상에 이어 이번 IFA 혁신상 수상으로 유럽 시장에서도 바디프랜드의 높은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며 이번 수상에 안주하지 않고 ‘로보틱스 테크놀로지’와 자체 AI 기술을 적용한 ‘헬스케어로봇’ 연구개발에 더욱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뉴스
- 경제
- 기업/IT
-
바디프랜드 ‘퀀텀 AI뷰티캡슐’ IFA2025 혁신상 수상… AI 마사지맵핑 기술 첫선
-
-
서울에서 카자흐스탄 헌법의 날 기념 행사 열려
- [이코노미서울=전광훈기자] 서울, 2025년8월30일– 서울에서 카자흐스탄헌법의날을 기념하여 누르갈리아르스타노프주한카자흐스탄대사의 특별강연이 개최되었다. 이번행사는 국제청년단체HOBY Korea의 지원으로 진행되었다. 강연에서 누르갈리 아르스타노프대사는 카자흐스탄헌법이 독립, 민주주의,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확고한 법적 토대가 되었다고 강조했다. 헌법은 국민의 권리와 자유를 보장하고, 국가의 현대화및 개혁을 위한 전략적노선을 규정하며, 정치적 안정과 사회적 화합을 보장하는 기본법률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카자흐스탄이 적극적인 대외정책과 역동적인 경제발전을 이룬 국가로 변모했음을 강조했다. 중견국으로서 카자흐스탄은 동서간의 가교역할을 수행하며, 국제무대에서 카심-조마르트토카예프대통령의 구상을 일관되게 실현하고있다고 밝혔다. 특히 오늘날 카자흐스탄과 한국간의 관계가 확대된 전략적동반자관계 수준에 이르렀음을 강조했다. 양국 협력은 정치적대화와 경제분야에서부터 과학, 교육, 문화교류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이루어 지고 있다. 현재 1,200명 이상의 카자흐스탄 학생들이 한국에서 수학하고 있으며, 주간20편의 정기항공편이 서울과 부산을 아스타나, 알마티, 쉼켄트와 연결해 양국 국민간교류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 이번 강연은 국제학교 학생들의 큰관심을 끌었으며, 학생들은 카자흐스탄의 외교정책우선순위, 세계 및 전통종교지도자회의, 아시아교류 및 신뢰구축회의(CICA), 그리고 문화간 대화강화에서 청년의 역할등에 대해 활발히 질문을 이어갔다. 이번 행사는 카자흐스탄 과한국간 신뢰와 우정의 분위기를고양하고, 청년교류와 상호이해의 새로운기회를 여는 중요한 장이 되었다.
-
-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
서울에서 카자흐스탄 헌법의 날 기념 행사 열려
-
-
바디프랜드, 헬스케어로봇 기술 수출 전년 대비 363% 급증
- ‘마사지체어’에서 ‘헬스케어로봇’으로 글로벌 산업 지형 바꿔놔 글로벌 IT·가전 박람회 참가로 K-헬스케어 위상 높여… IFA 2025도 출격 [이코노미서울=전광훈기자] 헬스케어로봇 기업 바디프랜드(대표이사 곽도연·김철환)의 기술 수출 실적이 급증하면서 해외 시장 공략에 가속도가 붙었다. 바디프랜드는 2025년 8월 기준, 헬스케어로봇 기술 수출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363%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특히 올 상반기(1~6월) 기술 수출액으로만 이미 지난해 전체 실적을 넘어섰다.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하면 전년비 4배에 육박하는 연간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바디프랜드는 전망했다. 이 같은 헬스케어로봇 기술 수출 성장세는, 주요 글로벌 마사지체어 생산, 제조 기업들이 사활을 걸고 헬스케어로봇 기술을 도입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마사지체어의 패러다임이 ‘헬스케어로봇’으로 전환되며 새로운 글로벌 산업 스탠다드가 형성되고 있다는 의미다. 바디프랜드는 헬스케어로봇 기술의 전파를 통해 글로벌 소비자의 건강수명 10년 연장을 실현하는 것은 물론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인 K-헬스케어의 저력을 입증해 가겠다고 말했다. 바디프랜드는 오는 9월 5일부터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IFA를 교두보로 삼아 헬스케어로봇 시장 확대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
-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
바디프랜드, 헬스케어로봇 기술 수출 전년 대비 363% 급증
-
-
동대문구, 외국인 대상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 - 8월 26일부터 1년간 관내 전 지역 지정, 주택 매수 시 실거주 의무 강화 - 외국인 무분별한 주택 매수 차단, 주택시장 안정·주거복지 향상 도모 [이코노미서울=전광훈기자] 서울 동대문구(구청장 이필형)는 국토교통부가 관내 전 지역을 외국인 대상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지정기간은 2025년 8월 26일부터 2026년 8월 25일까지 1년간이다. 허가 대상은 외국인(법인 포함)이 매수하는 주택으로「건축법 시행령」에 따른 단독주택‧다가구주택‧아파트‧연립주택‧다세대주택이 해당된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서는 주거지역 6㎡, 상업지역 15㎡ 초과 토지에 대해 소유권 또는 지상권을 대가를 받고 이전하거나 설정하려는 경우 계약 체결 전에 동대문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허가를 받은 외국인은 허가일로부터 4개월 이내 해당 주택에 입주해야 하며 주택 취득 후 2년간 실거주해야 한다. 위반 사실이 확인될 경우 구청은 최대 3개월의 기한을 정해 이행명령을 내리며 이행하지 않을 경우 의무 이행 시까지 토지취득가액의 10%에 해당하는 이행강제금이 부과된다. 또한, 허가 없이 계약을 체결하거나 부정한 방법으로 허가를 받은 경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계약 체결 당시 해당 토지 개별공시지가의 최대 30%에 해당하는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자금조달계획 및 입증자료 제출 의무도 확대 적용될 예정이며 외국인의 자금출처조사를 강화하기 위해 해외자금 출처, 비자 유형(체류자격) 등이 자금조달계획 내용에 추가된다. 이필형 동대문구청장은 “실거주 의무 이행 여부에 대한 현장점검을 강화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 부과뿐만 아니라 필요시 허가 취소까지 검토할 예정”이라며 “외국인의 무분별한 주택 매수를 사전에 차단하고 주택시장 안정 및 국민의 주거 복지 향상을 도모하겠다.”라고 밝혔다.
-
- 뉴스
- 사회
- 사회일반
-
동대문구, 외국인 대상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
-
누르갈리 아르스타노프 주한 카자흐스탄 대사 기고문
- 카자흐스탄헌법제정30주년 어떤성과를이루었는가? 1995년8월30일국민투표를통해새로운헌법을채택했을때, 국민들은현대국가건설의초석을놓았다. 헌법은단순한법률문서가아니라인본주의적가치를담은헌장이었다. 제1조는카자흐스탄을민주적·세속적·법치적·사회적국가로규정하며, 개인과그삶, 권리와자유가최고의가치임을명확히하고있다. 독립을비교적최근에얻은카자흐스탄에게이러한규정은단순한선언적구호가아니었다. 그것은국내정책, 입법발전, 국가전략의근간이되었고, 행정·명령체제에서법치국가로의전환을이끄는결정적인발걸음이었다. 지난30년동안카자흐스탄은시민의권리를보호하는제도를점진적이면서도일관되게강화해왔다. 이는공개적이고제도화된형태로이루어졌으며, 국제적의무에의해뒷받침되었다. 이로써인권은국내적차원을넘어국제적정당성의기준으로자리잡게되었다. 인권보장의확대 2022년6월5일전국국민투표를통한개헌의가장중요한성과중하나는인권옹호관(옴부즈맨) 제도의헌법적지위를부여한것이었다. 아르투르라스타예프인권옹호관은“이결정으로카자흐스탄은국가인권제도가헌법과헌법법률에의해규율되는선진민주주의국가대열에합류하게되었다”고평가했다. 그는“이는민주적성숙의신호이다. 개혁으로인해국민은헌법재판소에직접청원할수있는권리를포함해인권보장에더쉽게접근할수있게되었다”라고강조했다. 옴부즈맨의역할은단순히민원을처리하는것을넘어, 구금시설의감시, 입법과정의참여, 법교육등으로확대되었다. 2024년에는교도소, 구치소, 보호시설등약800곳을방문하여이전보다훨씬적극적인감시활동을펼쳤다. 또한지역대표사무소가전국적으로운영되면서국민적신뢰가크게높아졌다. 옴부즈맨에접수되는연간민원건수는불과몇년만에1,800건에서약7,000건으로증가했다. 라스타예프에따르면, 이는법의식의성장과제도에대한신뢰강화의결과이다. 옴부즈맨사무실에서제안한입법안은국가정책에점점더큰영향을미치고있다. 그대표적인예가바로인권옹호관권고에따라마련된가정폭력방지법으로, 카자흐스탄법체계의중요한이정표가되었다. 헌법개정을통한법치주의 카자흐스탄헌법은새로운도전에대응하며유연하게진화해왔다. 특히2022년6월국민투표에서국민들은민주화, 사법현대화, 법치원칙강화를목표로한전면적인개혁을지지했다. 사법제도가가장큰수혜를입었다. 아슬람벡메르갈리예프대법원장은“헌법에따르면모든국민은자신의권리와자유에대한사법적보호를받을권리가있다. 따라서모든시민이공정한재판을통해보호와진실을찾을수있다는확신을갖는것이매우중요하다. 법치주의는카자흐스탄의진보적발전의초석이되어야한다”라고밝혔다. 디지털화도빠르게진전되었다. 현재전체사전수사과정의80% 이상이전자적으로이루어지고있으며, 90%의수사활동은영상으로기록되고있다. 이를통해투명성이보장되고있다. 또한법무부는국민변호사캠페인과온라인법률상담실을확대하여국민의법적접근성을넓혔다. 국민의 열망 카자흐스탄헌법은지난30년동안지속성과적응력을동시에보여주었다. 채택후수십년이지난지금도헌법은개인과그권리, 존엄성이최고의가치라는원칙에기반하고있다. 특히2022년개혁은주권이국민에게속한다는헌법적원칙을공고히했으며, 법치주의와인권보장을국가정치체계의핵심에자리잡게했다. 디지털시대와급변하는국제환경속에서카자흐스탄의가장큰희망은헌법이국가정체성의기초일뿐만아니라사회적열망을반영하는거울로서계속기능하는데있다. 누르갈리아르스타노프주한 카자흐스탄대사 Kazakhstan’s Constitution at 30: What Has Been Achieved? When people voted in the 1995 national referendum (Aug. 30) to adopt a new Constitution, they laid the cornerstone of modern statehood. More than just a legal charter, the Constitution of Kazakhstan is marked by its humanist focus. Article 1 declares the country a democratic, secular, legal, and social state, in which the highest values are the individual, their life, rights, and freedoms. For a country like Kazakhstan, which gained independence relatively recently, these provisions were far from mere formal declarations. They became a bedrock of domestic policy, legislative development, and state strategy in the years that followed. Experts note that the constitutional recognition of human rights was a decisive step in the transition from an administrative-command system to a modern rule-of-law state. Over nearly three decades, Kazakhstan has demonstrated a readiness to strengthen mechanisms for protecting citizens’ rights in a gradual yet consistent manner: open, institutionally formalized, and backed by international obligations. Human rights have thus acquired not only domestic significance but also become a marker of international legitimacy. Expanding Human Rights Safeguards Perhaps the most significant innovation of the reform that followed a nationwide referendum on June 5, 2022 was granting constitutional status to the Human Rights Commissioner. Ombudsman Artur Lastayev highlighted that with this decision, Kazakhstan has joined developed democracies where the activities of 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s are regulated by the Constitution and constitutional laws. “This is a sign of democratic maturity. Reforms have made human rights protections more accessible, including the right of citizens to appeal directly to the Constitutional Court,” Lastayev explained. The ombudsman’s role has expanded from reviewing complaints to proactive monitoring of detention facilities, legislative initiatives, and legal education. In 2024, nearly 800 visits to prisons, detention centers, and special institutions were carried out, far exceeding previous years. Regional representatives of the ombudsman now operate nationwide. This institutional presence has fueled a surge in public trust, as annual appeals have grown from 1,800 to nearly 7,000 in just a few years. According to Lastayev, this reflects both rising legal awareness and stronger trust in institutions. Legislative proposals from the ombudsman’s office are increasingly shaping national policy. Among the most notable is the new law on combating domestic violence, written in accordance with ombudsman recommendations, which now stands as a landmark in Kazakhstan’s legal landscape. Rule of Law through Constitutional Change The Constitution has proven to be flexible, evolving in response to new challenges. The transformative change came with the referendum in June 2022, when citizens endorsed sweeping reforms aimed at democratization, judicial modernization,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principle of law and order. The judiciary was a primary beneficiary. As Chief Justice Aslambek Mergaliyev noted,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everyone has the right to judicial protection of their rights and freedoms.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every citizen is confident in the fairness of the court, where they can truly find both protection and truth. The rule of law in all spheres of life must become the foundation of Kazakhstan’s progressive development,” he said. Digitization has advanced rapidly. Over 80% of pre-trial investigations are now conducted electronically, and 90% of investigative actions are video-recorded, ensuring transparency. The Ministry of Justice has also broadened legal access through the People’s Lawyer campaign and the expansion of its online Legal Cabinet. Aspirations of the People The Constitution has proven both durable and adaptive. Nearly three decades after its adoption, it remains centered on the principle that the highest value is the individual, their rights, and their dignity. The 2022 reforms in particular cemented the idea that sovereignty belongs to the people, while anchoring the rule of law and human rights protections in the country’s political DNA. As the nation navigates the digital era and a shifting global landscape, its greatest hope lies in the Constitution’s continued role: not only as the foundation of statehood, but also as a reflection of the society’s aspirations. Nurgali Arystanov Ambassador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to the Republic of Korea
-
- 뉴스
- 정치
- 외교
-
누르갈리 아르스타노프 주한 카자흐스탄 대사 기고문